해충 정보
해충 정보

해충 정보

바퀴벌레

지긋지긋한 해충과의 전쟁!

해충방제 전문 청년환경의 노하우로

깔끔하게 해결하세요!

바퀴벌레

지긋지긋한 해충과의 전쟁!

해충방제 전문 청년환경의 노하우로

깔끔하게 해결하세요!

독일바퀴

분포국내에서는 전국적으로 가장 널리 분포하고 있는 바퀴 종이다.
형태가주성 바퀴 중 가장 소형으로 10~15mm 정도이며, 암수모두 밝은 황갈색이고 암컷은 약간 검다. 앞가슴 뒤쪽에 두줄의 검은 줄이 있다. 약충은 두줄의 검은 줄이 전흉, 중흉, 후흥 및 복부에 걸쳐 뚜렷하다.
생활사 및 습성
성충이 되면 7~10일 내에 교미한다. 수컷은 여러번 교미하나 암컷은 일생동안 1~2회만 교미한다. 교미 수일 후에 생식낭에 알집이 생겨 나오기 시작하여 1~2일 후에 완성된다. 알집은 껍질이 얇아서 수분이 증발하기 때문에 알이 부화할 때까지 계속 암컷의 생식낭에 붙어서 수분을 공급받다가 부화 직전에 떨어진다. 알의 부화기간은 2~4주이고 온도가 부적당하면 더 길어진다. 알집 안에 들어있는 난 수는 37~44개 정도이고 그 중의 약 90%가 부화한다. 약충은 5회 탈피하면서 6령를 거치는데 보통 30~60일 만에 성충이 되지만 온도와 먹이에 따라 그 이상 걸리기도 한다. 성충은 보통 100일 정도 생존하지만 그 이상 생존하는 경우도 있으며 날개는 잘 발달되어 있으나 날지 못하고 민첩한 동작으로 질주한다.
환경관리
바퀴가 서식하고 있다는 사실은 주변에 먹이로 얻을 수 있는 것들이 많다는 사실이다. 그러므로 바퀴의 서식이 확인된 주변은 깨끗이 청소하고 먹이로 얻을 수 있는 것들을 충분히 제거해 주는 것이 무엇보다 필수적으로 선행되어야 한다.

이질바퀴

분포국내에서는 목포, 광주, 여수, 부산 등 주로 남부지방에만 분포되어 있었는데
최근에는 서울과 같은 중부지방에서도 자주 채집되고 있다.
형태대형 바퀴로 체장이 35~40mm 정도이고, 체색은 광택이 나는 적갈색이다. 성충의 전홍배판 가장자리에 현저한 황색의 윤상무늬가 있고 가운데는 적갈색내지 흑갈색이다. 전흉배판의 무늬는 약충 후기에 오면서 점차 뚜렷해진다. 난협은 비교적 소형(8mm)이고 거의 흑색이다.
생활사 및 습성
날개 있는 성충이 된 후 수일 내로 교미하고, 암컷은 알집을 4~10일 간격으로 계속 산출하여 일생 동안 21~59개를 만들어 낸다. 독일바퀴의 알집과는 달리 껍질이 단단하여 수분증발이 없기 때문에 생성 즉시 암컷의 복부에서 떨어져 은신처 내의 틈새에 점착성 물질로 고착시킨다. 알집 안에는 14~18개의 알이 2열로 배열되어 있는데 알의 부화기간은 평균 35~45일이다. 약충은7~13회 탈피하고 약충기간은 7~13개월이다. 이질바퀴는 온도와 습도가 비교적 높은 장소에서 서식한다. 최적온도는 29℃인데 23~33℃ 범위에서 정상적인 활동을 하고 20℃ 이하에서는 활동이 저하된다. 일반적으로 날지 않는데 온도와 습도가 높을 때 짧은 거리를 비행 할 수 있다. 성충의 수명은 약 1년이고 조건이 불리하면 100일 정도 산다.
환경관리
바퀴가 서식하고 있다는 사실은 주변에 먹이로 얻을 수 있는 것들이 많다는 사실이다. 그러므로 바퀴의 서식이 확인된 주변은 깨끗이 청소하고 먹이로 얻을 수 있는 것들을 충분히 제거해 주는 것이 무엇보다 필수적으로 선행되어야 한다.

먹바퀴

분포우리나라에서는 제주도를 비롯한 남부지방에 널리 서식하고, 최근에는 서울 등 중부지방에서도 발견되고 있다.
형태

대형 바퀴로 체장이 30~38mm로 이질바퀴보다는 약간 작다. 체색은 광택이 나는 암갈색을 띄고 암수 모두 복부전체를 덮고 있다. 성충의 앞가슴등판은 전체가 암갈색을 띄고 표면이 집바퀴에 비해 요철이 없고 매끄럽다. 알집은 비교적 소형(8mm)이고 거의 흑색이다.

생활사 및 습성
번데기가 날개 있는 성충이 된 후 약 1주일만에 교미하고 10일 후에 알집을 산출한다. 알집은 이질바퀴의 알집보다 크고 길이는 1~1.2cm정도이며, 알집 안에는 18~22개의 알이 들어 있다. 알집은 생성되는 즉시 몸에서 떨어져 접착성 물질로 은신처의 틈새에 붙여 놓는다. 알의 부화기간은 약 40~60일이며, 약충은 9-12회 탈피하면서 10~14개월 동안 발육하여 성충이 된다. 성충의 수명은 약 1년이다.
환경관리
바퀴가 서식하고 있다는 사실은 주변에 먹이로 얻을 수 있는 것들이 많다는 사실이다. 그러므로 바퀴의 서식이 확인된 주변은 깨끗이 청소하고 먹이로 얻을 수 있는 것들을 충분히 제거해 주는 것이 무엇보다 필수적으로 선행되어야 한다.

집바퀴

분포일본 토착종으로 최근에 중국과 한국으로 건너간 것으로 알려져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서울, 대전 등 중부지방에 널리 분포하고 있는데, 군산과 광주 등 호남지 방에서도 발견되기도 한다. 특히 저온에 적응한 바퀴로 세계적으로 가장 북방에 서식하는 특이한 종이다.
형태

중형(2~2.5cm)바퀴로 몸 전체가 무광택의 흑갈색이다. 수컷은 약간 가늘고 날개가 복부 끝보다 갈길게 나 있고, 암컷은 몸이 약간 통통하고 날개가 짧아서 복부의 반만덮고 있다. 수컷의 경우 먹바퀴와 매우 유사한데 집바퀴가 약간 작고 체색이 무광택이기 때문에 구별할 수 있다. 그리고 앞가슴등판이 편평하지 않고 약간 울퉁불퉁하다.

생활사 및 습성
암컷은 3-4개월 살면서 14개의 알집을 산출한다. 알집 안에는 12~17개의 알이 들어 있다. 알의 부화기간은 24-35일, 약충은 9회 탈피하는데 약충기간은 평균 6개월 정도로 알려져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아직 야외에서 채집된 예는 없으나 일본에서는 주택 부근의 숲속에서 서식하는 반옥외성인 바퀴로 알려져 있다.
환경관리
바퀴가 서식하고 있다는 사실은 주변에 먹이로 얻을 수 있는 것들이 많다는 사실이다. 그러므로 바퀴의 서식이 확인된 주변은 깨끗이 청소하고 먹이로 얻을 수 있는 것들을 충분히 제거해 주는 것이 무엇보다 필수적으로 선행되어야 한다.